어느덧 솔룩스의 1학기 프로젝트는 최종발표회를 앞두고 있습니다!
그 전에, 솔룩스에서는 3차 세미나가 6/23 (월) ~ 6/29 (일) 일주일 동안 이루어졌습니다.
[ REST API 톺아보기 : Firebase와 POSTMAN ] 를 어떤 방식으로 풀어나갔는지 함께 확인해볼까요?
주제
기간
6 / 23 (월) ~ 6 / 29 (일)
세미나 소개
고은서 멘토님께서 진행해 주신 이번 세미나에서는
REST API에 대해 학습하고, Firebase로 DB 서버를 구축하여 POSTMAN으로 테스트를 진행하는 것까지 학습해봤습니다.
내용
1. REST API
* REST API
먼저, REST API란 Representational State Transfer의 약자로,
웹의 기본 통신 방식인 HTTP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한 아키텍처 스타일입니다.
이는 클라이언트와 서버 간의 상태 전이를 자원의 표현(Representation)을 통해 수행하도록 합니다.
즉, HTTP 매소드를 통해 해당 자원에 대한 CRUD operation을 적용해주는 것이라고 볼 수 있죠.
REST의 핵심 개념은 자원(Resource)에 대한 고유 URI와,
이를 조작하는 표준화된 HTTP 메소드(GET, POST, PUT, DELETE 등)입니다.
이러한 방식은 서비스 간의 결합도를 낮추고, 확장성과 유지보수성을 높이는 데에 매우 유리합니다.
* REST 특징과 규칙
먼저 REST는 다음과 같은 원칙을 기반으로 아키텍처의 특징을 가집니다!
- Stateless (무상태성) : 서버는 클라이언트의 상태를 저장하지 않으며, 모든 요청은 독립적입니다.
- Cacheable (캐싱 가능성) : HTTP의 캐시 메커니즘을 그대로 활용할 수 있어 성능 향상이 가능합니다.
- Uniform Interface (일관된 인터페이스) : URI 및 메소드의 사용을 표준화함으로써 일관성을 확보합니다.
또, RESTful한 API를 적용할 때는 CRUD 행위를 HTTP 메소드로 표현하게 됩니다.
- GET : 데이터 조회
- POST : 데이터 생성
- PUT/PATCH : 데이터 수정
- DELETE : 데이터 삭제
이처럼 REST API 설계에는 기술적 원칙뿐만 아니라 사용자 경험과 확장성까지 고려되어야 합니다.
2. Firebase로 Database Server 구축
* Firebase란?
Firebase는 Google에서 제공하는 BaaS(Backend as a Service) 플랫폼으로,
앱 개발 시 서버 사이드 로직 없이도 데이터베이스, 인증, 스토리지 등 다양한 기능을 손쉽게 개발할 수 있게 해줍니다.
이떄, 분석, 인증, 구성 설정, 파일 저장 등의 많은 기능을 제공하기 때문에,
백엔드의 상당 부분을 해결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예를 들어서 Firebase는 REST API도 제공하므로 외부에서 데이터를 주고받는 데에도 매우 유용하고,
Firebase Auth, Cloud Function, Firestore 등의 기능과 결합하여 전체적인 백엔드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추가로 말씀드리자면,
제공하는 기능은 Build Better Apps, Improve App Quality, Grow Your App이 있는데,
이 중 저희는 Build Better Apps를 이용하여 실습을 진행해보았습니다!
3. POSTMAN으로 REST API 테스트
* POSTMAN이란?
POSTMAN은 API를 개발, 테스트, 공유 그리고 문서화 하는데 사용하는 클라이언트 서비스입니다.
주요 기능으로 요청 시뮬레이션, 파라미터 설정, 인증 방식 적용,
응답 확인, 문서화, 그리고 협업 기능이 있습니다.
이러한 기능들은 프론트엔드 개발자와 백엔드 개발자가 서로 독립적으로 기능을 테스트할 수 있게 해주며,
API의 동작 방식과 오류 여부를 빠르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해줍니다.
또한 요청을 모듈화하여 관리할 수 있는 Collection 기능,
프로젝트 단위로 작업할 수 있는 Workspace 등 협업 기능도 매우 유용합니다.
* POSTMAN으로 REST API 테스트
이번 세미나에서는 Firebase에 구축된 DB에 대해 직접 RESTful API 요청을 보내보며,
GET, POST, PUT, DELETE 등의 메소드가 의도한 대로 동작하는지 실시간으로 확인해보았습니다.
실제로 요청을 보내며 오류 메시지를 마주치고 디버깅하는 과정을 통해,
이론적 개념이 실습을 통해 훨씬 깊이 있게 체득되는 시간이 되었을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과제
- Realtime DB에 post 테이블 생성
- post 폴더 생성 후 HTTP Request 작성해보기
* 테이블 별로 문서는 2개 이상, 각 request가 모두 정상적으로 실행되어야 합니다.
이번 세미나의 과제는 Realtime DB에 post 테이블을 생성해보고,
post 폴더를 생성 후 HTTP Request를 작성해보는 것이었어요.
주의 사항으로는 테이블 별로 문서가 2개 이상이고,
각각의 request가 모두 정상적으로 실행되어야 합니다. 😊
해당 과제는 특히 REST API가 어떻게 실제 데이터베이스와 연결되어 작동하는지를 경험하는 데 초점을 맞췄으며,
각 요청이 정상적으로 작동하는지, 에러 메시지를 통해 무엇을 개선할 수 있는지를 확인하는 것이 주요 포인트였습니다.

헷갈리는 부분이나 디버깅이 필요한 부분은 멘토님의 실시간 피드백과 설명으로 충분히 보완되었기에,
기술적 실력을 실질적으로 끌어올릴 수 있었습니다 !
이번 세미나를 통해 REST API의 기본부터, Firebase 기반 백엔드 구성, 그리고 POSTMAN을 통한 테스트까지
현업에서 자주 쓰이는 핵심 기술 스택을 미리 경험해볼 수 있었던 유익한 시간이 부원분들에게 되셨을 거라고 생각합니다.
이제 실제 프로젝트에 API를 연결할 때도 훨씬 수월하게 접근하실 수 있을 거예요! 😍
'❤ 30기 > 30기 세미나' 카테고리의 다른 글
[30기 2차 세미나] (2) Git Bash 세미나 (0) | 2025.05.25 |
---|---|
[30기 2차 세미나] (1) Git Desktop 세미나 (0) | 2025.05.25 |
[30기 1차 세미나] (5) 디자인 시스템 가이드 세미나 (0) | 2025.04.28 |
[30기 1차 세미나] (4) 피그마로 만드는 자연스러운 UI (0) | 2025.04.28 |
[30기 1차 세미나] (3) 노션 세미나 (0) | 2025.04.28 |